안녕하세요.
잇프제맘입니다.
여러분!!
혹시 ‘독서로’라고 들어 보셨나요?
저는 ‘독서로’하니까 왠지 ‘복지로’가 생각나더라고요.
처음 아이 낳고, 양육수당 같은 거 신청하려고 들어가 봤던 거 같은데..
지금은 기억이 가물가물 합니다..
오늘은 독서교육통합플랫폼 ‘독서로’에 관해 포스팅해 보도록 할게요~
“‘독서로’ 전면 개통”
교육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은 오는 4월 23일(화)부터 독서교육통합플랫폼 ‘독서로’를 전면 개통한다고 합니다.
독서로 사이트: https://read365.edunet.net
‘독서로’는 17개 시도교육청별로 구축·운영되어 온 기존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통합·고도화한 것이라고 합니다. 학생의 독서활동 이력을 체계적으로 기록하고, 관리해서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도서 추천 등 개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호작용 중심의 독서교육 활동을 지원하는 것입니다.
먼저 학생들은 ‘독서로’에서 읽고 싶은 책을 검색하여 자신의 학교 도서관에서 대출이 가능한 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인기도서, 신착도서, 추천도서 등을 확인하여 [나의 책장]에 담아 독서 관심 목록을 구성할 수 있고, 자신이 읽은 책에 대한 감상평과 별점을 친구들과 공유할 수도 있습니다.
또한, 독후활동을 사진·음성·텍스트·영상 파일 등으로 업로드하여 기록할 수 있고, 선생님께 피드백을 받을 수도 있다고 하네요. 독서활동 이력은 전학을 가거나 졸업을 하는 등 자신의 학적에 변동 사항이 생겨도 ‘독서로’ [마이페이지]에서 확인할 수 있고, 독서 포트폴리오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.
다음으로 교사는 ‘독서로’에서 밸런스게임, 독서마라톤 등 독서교육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고 다양한 형태(동아리·학급·교과·학년·학교 등)의 독서교육 활동 그룹을 개설할 수도 있습니다. 이를 통해 학생 참여형 독서교육 활동을 진행하고 학생의 독후활동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.
“안정적인 개통을 위한 노력”
이번 ‘독서로’ 구축으로 17개 시도교육청 간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공유하고 민간 클라우드 보안인증제도로 서비스의 안전성과 보안성은 한층 강화되었다고 하네요. 특히, 모든 시도교육청의 독서 관련 데이터가 표준화되어 한 곳에 집약됨에 따라 데이터에 기반한 독서교육 정책 수립 등을 지원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.
교육부는 안정적인 개통을 위해 지난 4월 1일부터 시험운영(베타테스트)을 통해 초기 오류 제거 및 기능 점검을 수행 중에 있습니다. 아울러 상담센터(☏1544-0079)를 운영하여 새로운 시스템의 안정적인 현장 안착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합니다.
“독서로 서비스”
1. 주요 서비스
① 주요 서비스
학생의 독서활동 이력을 체계적으로 기록·관리,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도서 추천 등 개별화된 서비스 제공, 상호작용 중심의 독서교육 활동을 지원
② 사용대상
학생, 교원
③ 사용방법
독서로(https://read365.edunet.net) 접속 → 에듀넷 회원 가입(기존 에듀넷 회원은 별도의 가입 불필요) → 독서로 로그인(에듀넷 아이디로) 및 학교도서관 DLS 인증
2. 서비스 화면(예시)
![]() |
![]() |
[독서로 메인(비로그인)] | [독서로 메인(초등학교)] |
![]() |
![]() |
[도서검색(통합검색, 우리학교도서검색)] |
![]() |
[게임 기법을 활용한 다양한 독서 활동] |
![]() |
![]() |
[학생 맞춤형 도서 추천 서비스] ※ 대출,반납 이력 및 관심 주제 등 빅데이터 분석 기반 맞춤형 도서 추천 서비스 |
![]() |
![]() |
[학생 개인화 통계] |
얼마 전 뉴스에서 성인들 10명 중 6명이 1년 중 한 권의 책도 읽지 않는다는 기사를 다룬 것을 본 적 있어요.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, 어쨌든 요즘 종이책이든, 전자책이든 책을 접하는 시간이 적은 건 사실인 것 같아요. 물론 저도 그렇고요.
하지만 독서는 어려서 습관을 들이지 않으면, 커서는 더 하기 힘들잖아요. 그래서 저랑 남편은 일부러 아이와 도서관도 많이 다니고, 주말에는 꼭 같이 앉아서 책 읽는 시간을 가지려고 노력하는 편이에요. 그래서 다행히 아직까지 저희 아이는 독서하는 것을 좋아하는데요. 이번 '독서로' 개통을 통해서 아이들의 독서활동이 좀 더 활동적이고, 적극적으로 발전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살짝 해 보면서 포스팅 마치겠습니다.
* 본 포스팅은 교육부의 '보도자료'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으며, 해당 이미지 역시 '보도자료' 내의 이미지를 활용하였습니다.
'매콤, 달콤 육아, 교육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“학생맞춤통합지원 누리집 개통” (332) | 2024.05.03 |
---|---|
2024년 우리가 바라는 안전한 학교 공모전 개최! (262) | 2024.04.25 |
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기본계획 (213) | 2024.04.16 |
유보통합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? (172) | 2024.04.11 |
국내외 친구들과 함께 디지털 역량을 키우는 ‘제14회 이아이콘(e-ICON) 세계대회’ 개최 (114) | 2024.04.09 |